[직장 내 괴롭힘] 직장 내 괴롭힘 조사 비밀유지, 사업주의 의무인가요?

홈 > 괴롭힘·성희롱·스토킹 알기 > 사례보기
사례보기

[직장 내 괴롭힘] 직장 내 괴롭힘 조사 비밀유지, 사업주의 의무인가요?

881

a59755a4b8bff597099d26fe9cd274ce_1701391198_2974.png



안녕하세요. 코레일 외부고충센터입니다.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사실에 대한 신고를 접수하거나 그 사실을 인지한 경우에는 지체 없이 당사자 등을 대상으로 그 사실 확인을 위하여 객관적으로 조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근로기준법76조의7항 본문에서는 같은 조 제2항에 따라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사실을 조사한 사람, 조사 내용을 보고받은 사람 및 그 밖에 조사 과정에 참여한 사람이 해당 조사 과정에서 알게 된 비밀을 피해근로자등의 의사에 반하여 다른 사람에게 누설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2항을 위반한 자에게는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조사참여자의 비밀을 피해근로자등의 의사에 반하여 다른 사람에게 누설하지 않아야 할 의무에 조사참여자의 비밀누설 금지의무 준수에 대한 "사용자의 감독 의무"가 포함되는걸까요? 


이에 대한 법제처 법령해석례가 2023년 11월 21일에 나와 소개해 드립니다. 



결론은, 근로기준법76조의37항 본문에 따른 비밀누설 금지의무에는 조사참여자의 비밀누설 금지의무 준수에 대한 사용자의 감독 의무가 포함되지 않습니다.



먼저 근로기준법76조의37항 본문의 문언상 이는 조사참여자에 해당하는 사람에게 비밀누설 금지의무를 부여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조사참여자로 하여금 비밀누설 금지의무를 준수하도록 감독할 의무를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은 이상, “사용자본인이 조사참여자에 해당하는 사람으로서 비밀누설 금지의무를 지는 것 외에, 같은 항 본문에 따라 사용자에게 다른 조사참여자의 비밀누설 금지의무 준수를 감독할 의무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그리고 근로기준법76조의3의 규정체계를 살펴보면, 같은 조 제1항에서는 누구든지직장 내 괴롭힘 발생 사실을 신고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 제2항부터 제6항까지에서는 각각 직장 내 괴롭힘이 발생한 경우 해당 사실의 조사 실시, 피해근로자등의 보호조치, 가해 행위자에 대한 조치 등 사용자가 조치해야 할 사항을 규정하고 있는 반면, 같은 조 제7항 본문에서는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사실을 조사한 사람, 조사 내용을 보고받은 사람 및 그 밖에 조사 과정에 참여한 사람”, 즉 조사참여자의 비밀누설 금지의무를 규정하고 있고, ‘본인이 알게 된 비밀을 다른 사람에게 누설하지 않을 의무인 비밀누설 금지의무는 다른 사람이 비밀을 누설하지 않도록 감독할 의무와는 다른 내용의 의무라고 할 것인바



같은 항 본문에 따른 비밀누설 금지의무는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사실의 조사 과정에서 비밀을 알 수 있는 사람(조사참여자)을 구체적으로 열거하여 이들로 하여금 다른 사람에게 비밀을 누설하지 않도록 할 의무를 부과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지, 해당 규정을 사용자에게 조사참여자가 비밀누설 금지의무를 준수하는지를 감독할 의무를 부과하는 규정으로 해석할 수는 없습니다.


또한 침익적 행정행위의 근거가 되는 행정법규는 엄격하게 해석·적용하여야 하고 그 행정행위의 상대방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지나치게 확장해석하거나 유추해석해서는 안 된다고 할 것인데(각주: 대법원 2013. 12. 12. 선고 20113388 판결례 참조), 근로기준법116조제2항제2호에서는 같은 법 제76조의37항을 위반한 자에게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같은 법 및 관계 법령, 단체협약 등에 따른 피용자에 대한 사용자의 일반적인 감독권에 근거한 사용자의 감독책임과 민법756조제1(각주: 타인을 사용하여 어느 사무에 종사하게 한 자는 피용자가 그 사무집행에 관하여 제삼자에게 가한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으나, 사용자가 피용자의 선임 및 그 사무감독에 상당한 주의를 한 때 또는 상당한 주의를 하여도 손해가 있을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고 규정하고 있음.)에 따른 사용자 배상책임 유무는 별론으로 하더라도, ‘근로기준법76조의37항 본문에 따른 비밀누설 금지의무에 조사참여자의 비밀누설 금지의무 준수를 감독할 사용자의 의무가 포함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의무를 진다고 확장해석하는 것은 이러한 엄격해석의 원칙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할 것입니다.



따라서 근로기준법76조의37항 본문에 따른 비밀누설 금지의무에는 조사참여자의 비밀누설 금지의무 준수에 대한 사용자의 감독 의무가 포함되지 않습니다.